"우리들 중 그 누구도 벌받기 위해 태어나지 않았다"
·
Daily Life/Essay
왜 어떤 삶은 저주받은 듯 고통스럽고, 왜 어떤 삶은 형벌을 받는 듯 괴로운가.오늘 나를 괴롭혔던 가장 원초적인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들 중 그 누구도 벌 받기 위해 태어나지 않았다.” 나는 이 문장 하나를 수첩에 적어놓고 가만히 들여다봤다. 한 시간, 두 시간, 그렇게 마치 안갯 속을 헤매이듯, 나는 그 문장을 벗어날 수 없었다. 수첩에는, 그 뒤로 더 문장을 쓰지 못했다.삶에 대해 더 말할 수 없다고 느끼는 순간들이 많아졌다. 나의 문장은 언제나 그 순간에 멈춘다. 내가 느끼는 감각, 감정의 해상도가 흐릿하게 변하는 그 생경함은, 이제는 익숙해질 만도 되었는데 도무지 익숙해지지 않는다.삶에 관한 에세이를 더 많이 쓸 수 있기를 바란다. 아니, 내가 쓰기를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
<흰고개 검은고개>, 이제는 곧 사라질 추억과 나의 20대를 향한 고별
·
Daily Life/Essay
2012년 가을께, 를 알았다. 그 후로 벌써 10년, 아니 12년도 더 흘렀다. 십이간지가 한 바퀴 돌 만큼의 세월을 함께 한 술집이다. 지난 금요일, 이 곳에서 사실상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모임을 가졌다.가게가 있는 동인천 일대가 이제 재개발 수순으로 접어들었다고 한다. 다른 곳으로 이전하려고 했으나, '이사 비용'만 챙겨줄 뿐이고 나머지 비용은 알아서 감당해야 한다고. 너무나 큰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사장님은 가게를 폐업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친구들, 선후배와 함께 만든 작은 단톡방이 있다. 이름은 . 신입생, 선후배를 포함해 들어왔다 나갔다 몇 차례 순환이 있었다가 현재는 7명으로 정착했다. 톡방에 나가 있지만 여전히 연락하고 있는 친구들을 합하면 9~10명 쯤 되는 규모다. 시즌마다 모여서 ..
Hiss, WING - Objet
·
Daily Life/Music
WING의 Dopamine이 히트를 치면서, 관련 영상을 찾아 보다가 알게 된 음악이다.첫째는 이게 사람 입에서 날 수 있는 소리인가 싶으면서도, 그냥 눈 감고 들으면 비트박스가 아니라 그냥 디지털로 믹싱한 음악처럼 들린다는 점이다. 아무리 그래도 사람이 입으로 내는 소리면 그래도 아주 약간은 티가 나겠지 싶었는데, 이건 눈 감고 들으면 전혀 알 수가 없다. WING이 구사하는 드럼 부분이 특히 그렇다.https://youtu.be/-HMu5SS46_Y앨범이 있나 찾아봤더니 아쉽게도 앨범은 없다.이것저것 찾아보니 비트박서 Hiss도 이쪽 분야에선 전설적인 인물이라더라.WING의 인터뷰 영상도 몇 개 봤는데, 잘 됐으면 좋겠다 싶다. 그의 독보적인 실력으로 인해 너무 급작스럽게 띄워진(?) 느낌도 없지 않..
글을 쓴다는 행위에 대하여
·
Daily Life/Essay
[1] 글을 쓴다는 것블로그에 계속 이런저런 글들을 막 쏟아내고 있는데, 크게 몇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속에서 끓어오르는 감정들을 절제하기 위해서. 12.3 내란 사태 이후 수많은 언어가 오염되었고, 말도 안되는 어거지들을 뻔뻔스럽게 우겨대는 파렴치한들이 너무 많아졌다. 난 이들이 전부 입을 닥쳤으면 한다. 그래도 이렇게 끓어오르는 분노들은 대체로 글을 쓰다보면 어느정도 정제가 된다. 분노의 정체가 무엇인지, 이 말도 안되는 궤변들을 어떻게 격파할 수 있을지 하나하나 짚다 보면 시간도 잘 간다.두번째는 내 글과 생각을 좀 다듬기 위해서다. 직장에서 근무한지 이제 1년 반도 넘었다. 그 동안 각종 보고서며 제안서를 무지막지하게 썼다. 거짓말 좀 보태면 한 달에 A4 용지로 200장씩을 너끈히 썼을 ..
민주공화국의 반역자들을 적절하게 처벌하는 방식에 관하여
·
Studies/Comment
1. 모멸감과 모욕감을 안겨야 한다(1) 민주공화국을 조롱하는 윤석열의 퇴거행진윤석열이 관저에서 퇴거하는 장면은 민주공화국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욕과 조롱 그 자체였다. 그는 마치 개선장군처럼, 명예로운 퇴임인 양 한남대로 한쪽을 온전히 차지하며 행진(?)을 했고, 그의 지지자들은 윤석열을 열렬히 환영했다. 민주공화국에 노골적인 반역을 저지른 죄인의 퇴거 장면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연출이다. 윤석열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었듯이, 자신이 저지른 반헌법적, 반민주적 행위에 대해서 일말의 사과조차 없었다. 그저 자신의 지지자들을 향한 선동적 메시지만을 내놓을 뿐이었다. 이미 윤석열은 파면되어 ‘시민 윤석열’이 되었음에도, 퇴거 순간의 그는 ‘시민 윤석열’이 아니었다. 공화국의 반역자라고 볼 수도 없었다(왜 ..
블로그를 꾸미는 일의 번거로움에 대하여
·
Daily Life/Essay
블로그를 본격적으로 살리자고 마음 먹은 이후, 블로그에 대대적인(?) 개편들을 추진하고 있다.우선 가장 먼저 신경쓰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가독성이다. 나는 명조체 글꼴을 좋아하는데, 웹폰트로 쓸 만한 명조체 폰트가 한정적이다. 나눔명조나 함초롬바탕, 조선신명조 정도가 웹폰트로 나은 것 같은데, 다만 이게 웹폰트로 적용해보니 가독성이 오히려 떨어지는 듯한 착각이 든다. Kopub 바탕이 사실 내 기준에선 제일 깔끔하지만, 웹폰트로 쓰는 방법은 모르겠다. 지금은 조선신명조를 쓴다. 기본 서체도 그냥저냥 통일성 있어서 나쁘지 않은 것 같긴 한데, 명조체 쓰던 버릇 어디 가겠나.각주 기능도 살리고 싶다. 그런데 현재 스킨에서는 각주를 달면 너무 이상하게 나오는 게 문제다. 어떻게 수정해야 할 지를 몰라서 하릴없..